치유지수 = 자가회복력 측정 링크→ https://ktin.org/kin 치유지수 측정항목 - 개인특성: 이름, 성별, 나이(만), 신장, 체중 - 대사특성: 체지방률, 수축기혈압, 이완기혈압 - 기능특성: 악력, 유연성(좌전굴) - 인지특성: 인지체력(단기기억력), 치유효능감 치유지수 측정기기 측정항목 | 측정기기 | 제품명 | 비고 | 신장 | 신장계 |
| 인바디 PUSH 신장계 | | 체중, 체지방률 | BIA(체중계) |
| 인바디 다이얼 H20N 체지방분석기 | | 혈압 | 혈압계 |
| 오므론 HEM-7156T 혈압측정기 | | 악력 | 악력계 |
| 타케이 TKK 5401 악력계 | | 유연성(좌전굴) | 좌전굴 |
| 다우리 좌전굴 유연성 측정기구 | | 인지체력, 치유효능감 | 갤럭시탭 |
| 삼성 갤럭시 탭 A9 SM-X110 WIFI 64G | |
치유지수 측정방법 1. 신장 측정방법 영상링크→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iRaOEPEverY ① 측정 전 준비 - 평평한 바닥 선택: 측정 오류를 줄이기 위해 카펫이나 이불이 없는 단단하고 평평한 바닥에서 측정한다. - 벽 주변 정리: 초음파는 아래로 퍼져나가므로, 측정하는 사람 주변(특히 발 주변)에 장애물이 없도록 깨끗이 치운다. - 머리 정리: 모자나 머리핀 등 머리 위의 액세서리를 모두 제거한다. - 전원 켜기: 기기의 삼각형 버튼을 한 번 눌러 전원을 켠다. ② 측정 자세 - 벽에 기대기: 측정할 사람은 발뒤꿈치, 등, 머리를 벽에 기대고 똑바로 선다. - 시선은 정면: 고개를 들거나 숙이지 않고 정면을 바라본다. - 측정 준비: 측정하는 사람은 버튼을 한 번 더 눌러 '측정 모드'로 변경한다. ③ 측정 시작 및 완료 - 기기 위치 잡기: PUSH 신장계를 측정할 사람의 정수리 위에 수평으로 올린다. - 수평 맞추기: 기기가 수평이 되면 화면에 "PUSH" 라는 단어가 나타난다. - 측정 버튼 누르기: 화면에 "PUSH"가 표시된 것을 확인한 후, 삼각형 버튼을 눌러 측정을 시작한다. 초음파 센서가 바닥까지의 거리를 측정해 키를 계산한다. - 결과 확인: 잠시 후 화면에 측정된 키가 표시되면 확인한다. 2. 체중, 체지방률 측정방법 영상링크→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c7-HHNJTBXU - 전원 켜기: 체중계 중앙의 다이얼 버튼을 누르거나, 발로 가볍게 체중계를 탭하여 전원을 켠다. - 0.0 확인: 화면에 '0.0kg'이 표시될 때까지 잠시 기다린다. - 올라가기: 맨발로 발판 전극에 맞춰 올라서서 움직이지 않고 잠시 기다리면 체중 측정이 완료된다. - 신장 입력: 체중 측정이 끝난 후, 다이얼을 돌려 미리 앱에 입력해 둔 자신의 키(신장)를 맞추고 다이얼을 한 번 누른다. - 손잡이 잡기: 허리를 펴고 바른 자세로 서서, 체중계와 연결된 손잡이(다이얼)를 잡는다. - 올바른 자세 유지: 양팔을 앞으로 곧게 펴고, 팔이 몸통(겨드랑이)에 닿지 않도록 살짝 벌린다. 엄지손가락은 손잡이 위쪽의 둥근 전극에, 나머지 네 손가락은 손잡이 아래쪽 전극을 감싸 쥔다. 측정 중에는 움직이거나 말을 하지 않고 자세를 유지한다. - 측정 완료 및 결과 확인: 약 10초간 체성분 측정이 진행되고, 완료되면 측정된 체중, 체지방률, 근육량 등은 체중계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며, 상세한 결과는 연동된 'InBody' 앱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. 3. 혈압 측정방법 영상링크→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hClhdilAEgw - 안정 취하기: 조용한 환경에서 의자에 앉아 최소 5분 이상 안정을 취한다. - 커프에 팔 넣기: 왼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커프의 공기 튜브가 아래쪽(손 방향)으로 향하게 하여 팔을 넣는다. - 위치 맞추기: 커프의 하단 부분이 팔꿈치 접히는 선에서 위로 약 1~2cm에 위치하도록 한다. - 단단히 감기: 손가락 1~2개가 들어갈 정도의 여유를 두고 커프를 단단히 감는다. - 팔 높이 맞추기: 팔을 테이블 위에 올려, 커프의 중심이 심장 높이와 같아지도록 한다. 손바닥은 위를 향하게 하고 팔에 힘을 뺀다. - 전원/시작 버튼 누르기: 본체의 'START/STOP' 버튼을 누른다. - 움직이지 않기: 측정 중에는 말을 하거나 움직이지 않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한다. - 결과 확인: 측정이 완료되면 최고 혈압(수축기), 최저 혈압(이완기)을 확인한다. 4. 악력 측정방법 영상링크→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HOJ4p4gPbIM ① 측정 전 준비 - 그립 조절: 본인의 손에 맞게 손잡이 폭을 조절한다. - 전원 켜기: 기기 화면 아래의 빨간색 'ON/OFF' 버튼을 눌러 전원을 켠다. - 손잡이 조절: 악력계 손잡이 끝의 조절 다이얼을 돌려 폭을 조절한다. * 최적의 너비: 악력계를 쥐었을 때, 검지손가락의 두 번째 마디가 직각(90°)이 되는 상태가 최적의 너비 ② 측정 자세 - 바른 서기: 차렷 자세로 똑바로 서서 양발을 어깨너비로 벌린다. - 팔 위치: 팔을 자연스럽게 내리되, 악력계와 몸 사이에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간격을 춘다. - 악력계 잡기: 화면(LCD)이 몸 바깥쪽을 향하도록 잡는다. ③ 측정 시작 및 완료 - 측정 시작: 최대한의 힘으로 손잡이를 꽉 쥔다. * 측정 중에 팔을 휘두르거나 몸을 비트는 등 반동을 사용하면 안된다. * 쥐는 동안 팔꿈치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. - 결과 확인: 화면에 측정된 최고 악력(kg)들 확인한다. - 반복 측정: 좌우 2회씩 번갈아 가며 측정하고, 가장 높은 기록을 최종 결과로 사용한다. * 예: 오른손 → 왼손 → 오른손 → 왼손 순서 5. 유연성(좌전굴) 측정방법 영상링크→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N1iwlBK5eQ ① 측정 전 준비 - 스트레칭: 허리, 허벅지 뒤쪽(햄스트링), 종아리 근육을 중심으로 2~3분간 가볍게 스트레칭하여 근육을 이완시켜 준다. - 신발 벗기: 반드시 신발을 벗고 측정한다. ② 올바른 측정 자세 - 앉기: 측정기 앞에 앉아 양발을 발판에 완전히 밀착시킨 후 발과 발 사이는 5cm를 넘지 않도록 한다. - 무릎 펴기: 양 무릎을 곧게 펴고 바닥에서 뜨지 않도록 한다. - 양손 포개기: 양손을 가지런히 포갠 후, 손가락 끝을 맞춰 앞으로 뻗는다. ③ 측정 시작 및 기록 - 상체 숙이기: "시작" 신호에 맞춰 숨을 내쉬면서, 상체를 숙여 측정기 눈금의 막대를 최대한 멀리 밀어낸다. - 자세 유지: 막대를 가장 멀리 민 지점에서 2초 이상 자세를 유지한다. - 기록 확인: 손끝이 닿은 지점의 눈금(cm)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기록한다. - 반복 측정: 보통 2회 실시하여 가장 좋은 기록을 최종 결과로 사용한다. * 무릎 굽힘과 반동 금지 6. 인지체력 측정 링크→ https://ktin.org/cofit - 준비: 컴퓨터, 패드, 스마트폰에서 인지체력 측정 앱에 접속한다. - 측정(기억): 테스트 시작을 클릭한 후 나타나는 숫자를 5초 동안 기억한다. - 측정(입력): 10단계까지 기억한 숫자를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한다. - 점수 기록: 기록지에 점수를 기록한다. 7. 치유효능감 측정 링크→ https://ktin.org/tem - 준비: 컴퓨터, 패드, 스마트폰에서 치유효능감 측정 앱에 접속한다. - 측정: 설문 문항을 체크한 후 결과 보기를 클릭한다. - 점수 기록: 기록지에 점수를 기록한다. |